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삼성전자
- NAB
- 구글
- Tistory
- 네비게이션
- Google Adsense
- 블로그
- 출장
- 맛집
- iPhone
- Apple
- 티스토리
- las vegas
- me2day
- 이벤트
- 다음
- 애플
- 30D
- 여행
- 사진
- Firefox
- 라스베가스
- 영화
- DSLR
- NAB 2007
- 아이폰
- iPod Touch 2nd Generation
- RSS
- Today
- Total
목록navigation (4)
마음으로 찍는 사진
며칠전 받은 메일링 리스트에 있던 국내외 내비게이션 시장 및 업체 동향(원문 ITFIND)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이 포스팅에서는 국내의 환경만 정리를 하고, 축약된 부분만 정리 하기에 좀더 많은 정보를 얻으시려면, 원문을 읽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또한 간단하게 제 의견을 첨언 했으니, 주의하여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제 의견은 회색 박스 처리 됩니다. 1. 국내 시장 동향 - 2006년에는 120만대, 2007년에는 150만대 규모로 늘어날 예정임. - 2005년 등록차량대수 1,500만대 기준으로 약 90% 가량이 잠재 고객 - 2006년 네비게이션 단말기 시장은 약 5,000억원 규모 - 팅크웨어, LG상사, 파인디지털, 현대오토넷, 카포인트, 디지털큐브가 AM(After Market, 차량..
얼마전 삼성전자에서는 TPEG(Transfer Protocol Expert Group)이 지원되는 차량형(?) 네이게이션인 STT-D370을 발표했습니다. 그 네비게이션을 접할 기회가 생겼서 이번 구정 연휴에 차량에 부착한뒤에 돌아다녔습니다. 아주 간단하나마 사용기를 올립니다. 혹 구매에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느낌 위주고 오랜기간 사용한 것이 아니라서 100% 정확한 정보는 아님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대강의 모습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기기 하단에 삼성전자에서 만들었음을 증명하는 Anycall로고가 붙어 있고, 왼쪽에는 Power와 Hold, GPS의 LED가 달려 있고, 3.7"의 화면 오른쪽에는 4방향 키와 확인키를 중심으로 윗쪽에는 Home과 Menu가 아랬쪽에는 Navi와 DMB 키가..
모든 이미지는 engadget에서 가져왔습니다. (여기와 여기) 일본식 Navigation UI와 미국식 Navagation UI의 차이... 디자인 면에서는 미국식(?)이 좋아 보이고, 사용자 활용도 면에서는 일본식(?)이 나아 보입니다. 물론 국내의 것도 품질면에서는 만만치 않으나, 일본식의 경우 640*480의 해상도가 지원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좀더 세밀한 표현이 가능한 것이지요.. 국내의 맵도 올해 안에 VGA 지원 해상도가 나오게 되면 진일보 하게 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