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맛집
- NAB 2007
- 30D
- 다음
- Tistory
- 라스베가스
- 블로그
- iPhone
- 사진
- 이벤트
- 애플
- NAB
- me2day
- DSLR
- 네비게이션
- 영화
- Firefox
- 티스토리
- 구글
- Google Adsense
- iPod Touch 2nd Generation
- 여행
- 삼성전자
- Apple
- 출장
- 아이폰
- RSS
- las vega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30)
마음으로 찍는 사진
도깨비 뉴스를 통해 소개된 루나리아 님의 음악 입니다. 작곡을 공부하는 학생이라고 하시네요. 단순하게 윈도우의 효과음만을 이용해서 이런 훌륭한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놀라울 따름입니다. 루나리아님의 여자 친구분은 좋으시겠네요.. ^^; 드디어 유의미한 micro-contents가 많이 생겨나고 있음을 느낍니다. :)
- via Current Studio 역시 개인은 위대 합니다. :)
TechCrunch 기사를 읽던중, "Wikio is a smart combination of Digg+Technorati+Google news"라는 단어에 눈이가서 Wikio로 당장 들어가 봤다. 아직 정식 서비스는 하지 않고, closed beta를 유지 하는 것을 확인 하고 베타를 신청했더니, 오늘 메일이 날아 왔습니다. 헉. 불어 입니다. -_-. 회사가 스위스 계열이라고 하더니... 쩝. Google을 이용한 번역을 통해서, 대충의 의미를 파악후 사이트에 접속해 보았는데. 설마의 결과가 나타나네요. closed beta가 불어 입니다. OTL 사이트의 대강의 디자인만 보고서 나와 버렸습니다. 나중에 영문 서비스를 하면 다시 한번 가봐야 겠네요. 하지만, 역시 관심의 대상.
@hof님의 포스팅을 보고 조회한 결과. 아... 이건 통신사를 옮겨야 하는 건지, 싸게 준다고 연락좀 와라. 참 안쓰기는 많이도 안썼다.. 쩝.
(c) kmobile 아래것 보다 디자인이 예쁜 지상파 DMB + PMP 가 삼성에서 나왔습니다. 문제는 가격인데... 가격이... 62만9천원. oTL 덧) 사진을 kmobile에서 가져 왔는데 exit 정보가 살아 있네요.
Google maps를 이용한 광고모델. 여기를 선택해 보면 알 수 있다. 기존의 풍선형 위치정보와는 조금 다른 커피잔 모양의 아이콘. 그리고 이미지가 도입된 서점의 광고. mash-up이 된 서비스에서도 저러한 결과가 나올 것인가?? 그렇다면, Google의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제공 -> 사용자들의 mash-up 서비스 사용 -> Google의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view -> Google의 수익 증가라는 사슬이 만들어 지게 될까??
사람들은 역시 광고를 잘 보지 않는다. [zdnet] 위의 글을 읽다가, 아래 사진부분에 빨간색 화살표가 나와 있는데, 그에 대한 설명이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The eye-tracked image from Gateway's Web site shows how the viewermissed the information about Gateway Convertible Notebook (redarrow) because it looked too much like an ad.결국 컨텐츠가 광고 같아서 사람들이 보지 않는다는 것.
우주님을 통해서 소개된 멀티킷을 사용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우주님이 이야기 하신대로, 아직 알파버전의 한계로 테스트시 종료되는(특별한 작업이 있을때 종료가 되더군요.) 현상이 발생하기는 했으나, 맥에 있는 icomics(맞나요?)와 같은 작품(?)을 만들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동영상이 없어 동영상에 대한 부분은 테스트 하지 못했는데, 여러가지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잘만하면 대박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되는 군요. 멀티킷의 기능중 "만화킷"을 사용해서 만화 스토리를 한장 만들었는데... 이거 공개 하면 와이프에게 혼날 듯 해서, 다 만들고 지웠습니다. -_- 나중에 다른 이미지로 테스트본 올려 드리지요... ^^;
어제(4월 1일)의 신문보도에 따르면, 방송위원회가 비수도권 지상파 DMB 사업자를 3개로 확정했다는 기사가 있습니다. 이 결정때문에, 지역 방송의 사망선고라는 기사도 나왔습니다. 이를 제 기준으로 재 해석 해보려 합니다. 우선 지상파 DMB의 초기에는 지역을 6개권역(지역)으로 나눠서, 각 권역마다 방송사를 3개사씩 둔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서울/경기(수도권)의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 8번과 12번 채널에 각 3개씩의 방송사를 선정, 즉 6개의 방송사를 선정했고, 지방의 경우 주파수 대역에 여유가 없으므로, 3개씩을 선정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국적으로 지상파 DMB 사업자는 수도권 6개 + 지방 3개씩*5개 권역 = 21개의 방송사가 생기게 되는데, 결국 위의 결정에 따라서 전체 9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