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SS
- Google Adsense
- 영화
- me2day
- 출장
- 다음
- 30D
- Firefox
- 이벤트
- 티스토리
- NAB
- 네비게이션
- 애플
- DSLR
- 아이폰
- iPod Touch 2nd Generation
- 사진
- 라스베가스
- las vegas
- NAB 2007
- 삼성전자
- 맛집
- iPhone
- 블로그
- Apple
- 여행
- 구글
- Tistory
- Today
- Total
목록KT (6)
마음으로 찍는 사진
얼마전 부터 KT에서 시작한 Cloud 서비스가 있습니다. 이름은 ucloud! 기본적으로는 20GB의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상품부터 유료로 제공이 되지만, KT의 Qook을 사용하거나, Show 데이터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에게는 20GB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도 아이폰을 통해서 i요금제를 사용하기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ucloud란? 그런데 이 ucloud 서비스가 무엇이냐? 서비스 설명 페이지에서는 아래와 같이 ucloud를 소개 하고 있습니다. 즉 PC에 있는 자료를 백업하거나, 다른 PC와 동기화 하거나, 아니면 다른 기기에서 정보를 볼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비슷한 사례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DropBox나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N드라이브가 있습니다. 사실 이 uclou..
이제 국내에도 VoIP(인터넷 전화) 사업자가 상당히 많아 졌습니다. 국내의 인터넷 전화 사용요금에 대해서 아틀라스 그룹이 간단하게(블로그에는 아주 간단하게) 표로 만들어 놓았네요. 2개의 사업자(KT, LG데이콤)의 분석에 가장 유명한 VoIP 사업자인 skype의 요금을 대입시켜 보았습니다. 구분 KT LG데이콤 skype out 시내전화 43 38 69(분당 23) 인터넷전화 통화 43 38 N/A 이동전화 통화 14 12 12(분당 72) 가입자간 혜택 없음 무료 무료 SMS 건당 20 가입자간 10 휴대폰 15 91 * KT/LG데이콤 : 일반전화 3분기준, 휴대전화 10초 기준 물론 이외에도 각사별로 기본료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KT는 3,000원, LG데이콤은 2,000원 그리고 Skype의..
드디어 공짜 소문으로(?) 나돌던 KT Mega TV + Sony Playstation 3에 대한 결합상품이 출시 되었습니다.(via kbench) ‘메가TV for PS3’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결합 상품도 출시됐다. 이 상품은 최장 36개월 할부로 구매가 가능하며, 신규로 메가패스 프리미엄급 이상 상품에 가입하고 결합 패키지를 신청할 경우 34만8,000원의 40GB PS3가 25% 할인된 가격(26만2,800원)에 제공 이미지 출처 DVDPrime 저는 지인을 통해서 해당 상품이 무료로 뿌려지지 않을 것을 알고 있었지만, 가격이 전혀 메리트가 없습니다. 정가가 저 정도이면 다양한 루트를 통해서 싸게 사는 것이 가능해 질텐데.. 그리고 3년이라는 세월이 지나면 분명히 초기 보다는 어느정도 싸게 사..
Sony에서 온 메일링 리스트의 한 부분입니다. 다른것 보다도 KT가 하면 어느 정도 가격 감소분이 있을 것 같은데? 그렇다면 HD 화질의 Player와 HD 방송 수신이 가능해 질수도 있는데... 요거 은근히 땡기는데요?
SK 커뮤니케이션즈가 엠파스를 인수 했다는 기사를 읽고 나니, 국내 인터넷 업계의 M&A 건 중에서는 가장 규모 있는 거래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SK 컴즈는 '검색'이라는 칼을 쥐었고, 엠파스는 'SK'라는 지원군을 두게 되었네요. 국내 토종 검색 엔진 가운데 네이버와 엠파스(코난테크놀러지 포함)의 두개 성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를 인수 했으니, 그만한 가치는 있을 것이라 조심스레 예측 해 봅니다. 자... 이제는 SK와 KT의 싸움이 날 수 있을까요??? 그럼 KT는 어떠한 전략으로 나올까요???
몇몇분이 벌써 빠르게 이야기를 해 주셨지만, 아침부터 생각을 하다가 이제야 정리를 하게 됩니다. 우선 KT의 입장을 간단하게 이야기 하면 이렇습니다. KT 관계자는 “이번 과금시스템 적용 대상자는 이용약관을 위반해 많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면서 “일반가정에서는 2대 이상의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가계 고객보다는 값비싼 인터넷 전용 회선을 대체해 메가패스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기업 고객이 주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전자신문 우선 2대가 아닌 3대 부터는 공유를 하게 되면, 추가 과금을 물리겠다 입니다. 뭐 일반적인 현재의 인터넷 상황에서는 맞는 이야기 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 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2대 이하일 것이기 때문 입니다.(아닐 수도 있지요)..